펀드 가입은 어디서, 어떻게 하나요?
증권사, 은행 등 금융기관의 창구나 온라인 채널에서 가입 가능합니다. 일부 펀드는 판매 채널이 제한될 수 있으니 해당 펀드가 거래하시는 기관에서 판매하고 있는지 확인해 주세요.
가입 조건이 있나요?
사모펀드의 경우 각 펀드당 일반투자자 49인의 제한이 있어 최소 가입금액 조건이 있습니다. 최소 가입금액은 각 펀드마다 차이가 있으나, 3억원 ~ 5억원입니다.
공모펀드의 최소 가입금액은 펀드 종류와 판매회사에 따라 다를 수
있지만, 일반적으로 1,000원부터 투자가 가능합니다. 하지만 판매 회사에서 자체적으로 최소 가입금액을 설정하는 경우가 있으므로, 펀드
가입 시 해당 금액을 확인해 주세요.
ETF는 주식 매매와 동일하게 별도의 가입조건은 없습니다.
수익은 어떻게 발생하나요?
투자자산의 가치 상승, 배당, 이자 등을 통해 발생합니다. 다만, 손실 가능성도 존재합니다.
수수료(보수∙비용)는 어떻게 부과되나요?
운용보수, 판매보수,기타 비용이 발생하며, 펀드 자산에서 차감됩니다. 수익률에 반영되므로 사전 확인이 필요합니다.
펀드, 그냥 주식이랑 뭐가 다른 건가요?
펀드는 여러 투자자의 자금을 모아 펀드매니저가 다양한 자산에 분산 투자하는 금융상품입니다. 주식은 한 종목을 직접 사고 팔지만, 펀드는 여러 종목에 동시에 투자해 위험을 줄일 수 있습니다.
펀드에는 어떤 종류가 있나요?
펀드는 투자 대상에 따라 주식형, 채권형, 혼합형, 대체투자형 등으로 나눌 수 있으며, 운용방식에 따라 공모펀드, 사모펀드, ETF 등으로 구분됩니다. 각 유형은 투자 대상과 위험/수익 구조가 다르므로 본인 투자 목적에 맞게 선택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이익 분배금과 재투자란 무엇인가요?
대부분 수익증권은 1년을 단위로 그 기간의 운용 성과를 계산하는데, 이를 투자 신탁의 결산이라고 하며, 1년이라는 기간을 투자 신탁 회계 기간 동안 신탁 재산에서 발생한 수익금이 확정되게 되는데 이 수익금에서 신탁 보수 제 비용 등을 공제하고 나머지를 투자자의 투자비율에 따라 분배하는 것을 이익 분배금이라고 합니다.
결산 시 펀드 투자 실적의 이익이 발생한 경우에는 그 이익 중 세금 등을 제외하고 펀드 투자자들에게 수익증권으로 다시 분배를 하는데 이러한 과정을 재투자라고 합니다. 재투자 후 펀드 기준가격은 최초 기준가격(보통 1,000원)으로 환원되며, 투자자들은 재투자분 만큼 수익증권 수량이 늘어나게 됩니다.
기준가격이란 무엇인가요?
투자자가 맡긴 저축 재산의 운용 결과 얻어지는 총자산에서 비용을 공제한 신탁 재산 순자산 총액을 설정 좌수로 나눈 것으로 투자한 수익증권의 가치에 따라 매일 변동되며 보통 1,000좌 단위로 표시하여 수익증권 매매의 기준이 되며 일정 시점의 펀드 실질 가치를 나타냅니다.
과표 기준가란 무엇인가요?
과표 기준가는 수익증권의 매매에 따른
과세를 결정하기 위해 산출되는 값으로 기준 가격과 함께 매일 공시됩니다.
수익증권 투자로부터의 자본
이득에 대한 과세는 적용되지 않지만 이자 소득과 배당 소득에 대해서는 과세가 되기 때문에 과표 기준가와 기준가는 다릅니다.
투자한 수익증권에 대한 평가 금액은 어떻게 계산하나요?
만약 1,000만원으로 기준 가격이 1,250원인 수익증권을 구입하였다면 좌수로는 1,000만원/1,250원*1,000 = 8,000,000좌가 됩니다.
투자한 수익증권의 현재 기준가격이 1,500원이라 하면 평가금액은
(1,500원/1,000)*8,000,000좌 = 12,000,000원이 됩니다.
평가금액으로 볼 때는 2,000,000원의 투자 수익을 얻은 것입니다.


